경제스터디룸

에코프로에이치엔의 주가 전망과 목표주가에 대해 분석

수수께끼 고양이 2023. 8. 10. 11:00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에코프로에이치엔은 상업서비스와공급품 기업으로, 코스닥 42위를 차지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온실가스 감축 솔루션, 미세먼지 저감 솔루션, 클린룸 케미컬 필터 등을 제공하는 친환경 관련주이며, 이차전지 시장의 성장과 함께 주가가 급등하면서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에코프로에이치엔의 주가 전망은 어떻게 될까요?

목표주가는 얼마일까요?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주가 분석
에코프로에이치엔의 현재 주가는 87,300원이며, 발행된 주식수는 1,530만주입니다. 외국인 지분율은 6.63%로, 전체 상장주식 중 1,015,283주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시가총액은 1조3,361억원으로, 코스닥 시가총액 순위에서 42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52주 최고가는 109,500원, 최저가는 41,000원이며, 52주 베타는 1.79입니다. 

최근 1개월 수익률은 +42.41%, 3개월 수익률은 +30.69%, 6개월 수익률은 +74.60%, 1년 수익률은 +113.19%입니다.

 

이러한 수익률은 코스닥 평균보다 훨씬 높은 수준입니다.

에코프로에이치엔의 주가는 최근 무상증자 소식으로 급등하였습니다. 

무상증자는 기존 주주들에게 새로운 주식을 무료로 배정하는 방식으로, 기업의 자본금을 증가시키는 방법입니다. 

무상증자를 통해 기업은 자금조달을 할 수 있으며, 주주들은 보유주식의 비중이 유지되거나 증가할 수 있습니다.

 

에코프로에이치엔은 무상증자 비율을 10:1로 결정하였으며, 실시일은 2023년 8월 31일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에코프로에이치엔의 자본금을 약 10배로 늘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무상증자 소식이 공시되기 전인 2023년 7월 28일에 에코프로에이치엔의 주가는 43,900원이었습니다. 그러나 공시 이후부터 주가는 계속 상승하여, 현재까지 약 2배 가까이 오른 상황입니다.

 

이는 무상증자를 통해 기업의 재무건전성과 성장성이 향상될 것이라는 시장의 기대감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목표주가

에코프로에이치엔의 목표주가를 예측하기 위해, 재무제표 분석과 F스코어 관련 지표를 참고하겠습니다.
재무제표 분석은 기업의 재무상태와 성과를 파악하는 방법이며,
F스코어 관련 지표는 기업의 재무적 품질을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재무제표 분석
에코프로에이치엔의 2023년 1분기 재무제표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가수익비율 (PER): 28.06배 (3분기: 21.45배)
자기자본이익률 (ROE): 57.60% (3분기: 43.37%)
주당순자산가치 (BPS): 5,731억원 (3분기: 5,677억원)
주가순자산비율 (PBR): 13.38배 (3분기: 7.99배)
주당순이익 (EPS): 635억원 (3분기: 975억원)
총자산이익률 (ROA): 28.04% (3분기: 20.67%)
이러한 지표들을 통해 에코프로에이치엔의 재무상태와 성과를 살펴보겠습니다.

PER은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의 수익성과 시장의 평가를 나타냅니다. 
PER이 낮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높고, 시장의 평가가 낮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에코프로에이치엔의 PER은 28.06배로, 코스닥 평균인 18.93배보다 높습니다. 이는 에코프로에이치엔의 수익성이 코스닥 평균보다 낮고, 시장의 평가가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ROE는 자기자본으로 벌어들인 이익의 비율로, 기업의 효율성과 수익성을 나타냅니다. 
ROE가 높을수록 기업의 효율성과 수익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에코프로에이치엔의 ROE는 57.60%로, 코스닥 평균인 8.32%보다 매우 높습니다. 이는 에코프로에이치엔의 효율성과 수익성이 코스닥 평균보다 매우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BPS는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을 주식수로 나눈 값으로, 기업의 순자산 가치를 나타내며, BPS가 높을수록 기업의 순자산 가치가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에코프로에이치엔의 BPS는 5,731억원으로, 코스닥 평균인 4,386억원보다 높습니다. 이는 에코프로에이치엔의 순자산 가치가 코스닥 평균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BR은 주가를 BPS로 나눈 값으로, 기업의 순자산 가치에 대한 시장의 평가이며, PBR이 낮을수록 기업의 순자산 가치에 대한 시장의 평가가 낮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에코프로에이치엔의 PBR은 13.38배로, 코스닥 평균인 4.31배보다 매우 높습니다. 이는 에코프로에이치엔의 순자산 가치에 대한 시장의 평가가 코스닥 평균보다 매우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EPS는 주당순이익으로,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냅니다. EPS가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에코프로에이치엔의 EPS는 635억원으로, 코스닥 평균인 233억원보다 높습니다. 이는 에코프로에이치엔의 수익성이 코스닥 평균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ROA는 총자산으로 벌어들인 이익의 비율로, 기업의 효율성과 수익성을 나타냅니다. ROA가 높을수록 기업의 효율성과 수익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에코프로에이치엔의 ROA는 28.04%로, 코스닥 평균인 4.67%보다 매우 높습니다. 이는 에코프로에이치엔의 효율성과 수익성이 코스닥 평균보다 매우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재무제표 분석 결과, 에코프로에이치엔은 코스닥 평균보다 훨씬 뛰어난 재무상태와 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ROE와 ROA가 매우 높은 것은 기업의 경영능력과 성장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PER과 PBR은 코스닥 평균보다 매우 높은 것은 시장의 고평가 위험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F스코어 관련 지표
F스코어 관련 지표는 재무적 품질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9개의 항목으로 구성됩니다.

- 당기순이익 (P): 당기순이익이 양수면 +1점, 음수면 0점
- 영업현금흐름 (CFO): 영업현금흐름이 양수면 +1점, 음수면 0점
- ROA 변화율 (ΔROA): 전년도 대비 ROA가 증가하면 +1점, 감소하면 0점
- 영업현금흐름 대비 당기순이익 (ACCRUAL): 영업현금흐름이 당기순이익보다 크면 +1점, 작으면 0점
- 장기부채 대비 자본금 변화율 (ΔLEVER): 전년도 대비 장기부채 대비 자본금 비율이 감소하면 +1점, 증가하면 0점
- 유동자산 대비 유동부채 변화율 (ΔLIQUID): 전년도 대비 유동자산 대비 유동부채 비율이 증가하면 +1점, 감소하면 0점
- 발행주식수 변화율 (EQ_OFFER): 전년도 대비 발행주식수가 감소하거나 동일하면 +1점, 증가하면 0점
- 자산회전율 변화율 (ΔMARGIN): 전년도 대비 자산회전율이 증가하면 +1점, 감소하면 0점
- 매출액 대비 매출총이익 변화율 (ΔTURN): 전년도 대비 매출액 대비 매출총이익 비율이 증가하면 +1점, 감소하면 0점

F스코어는 위의 9개 항목의 점수를 합산한 값으로, 최대 9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F스코어가 높을수록 기업의 재무적 품질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에코프로에이치엔의 F스코어 관련 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당기순이익 (P): +1점 (2023년 1분기 당기순이익: 9,731억원)
영업현금흐름 (CFO): +1점 (2023년 1분기 영업현금흐름: 10,402억원)
ROA 변화율 (ΔROA): +1점 (2022년 ROA: 20.67%, 2023년 1분기 ROA: 28.04%)
영업현금흐름 대비 당기순이익 (ACCRUAL): +1점 (2023년 1분기 영업현금흐름 > 당기순이익)
장기부채 대비 자본금 변화율 (ΔLEVER): +1점 (2022년 장기부채 대비 자본금 비율: 0.00%, 2023년 1분기 장기부채 대비 자본금 비율: 0.00%)
유동자산 대비 유동부채 변화율 (ΔLIQUID): +1점 (2022년 유동자산 대비 유동부채 비율: 4.08배, 2023년 1분기 유동자산 대비 유동부채 비율: 4.23배)
발행주식수 변화율 (EQ_OFFER): +1점 (2022년 발행주식수: 15,300,000주, 2023년 1분기 발행주식수: 15,300,000주)
자산회전율 변화율 (ΔMARGIN): +1점 (2022년 자산회전율: 0.77배, 2023년 1분기 자산회전율: 0.85배)
매출액 대비 매출총이익 변화율 (ΔTURN): -1점 (2022년 매출액 대비 매출총이익 비율: 51.27%, 2023년 1분기 매출액 대비 매출총이익 비율: 50.97%)
F스코어 관련 지표 결과, 에코프로에이치

에코프로에이치엔의 F스코어 관련 지표 결과, 에코프로에이치엔은 총 9점 중 8점을 받았습니다. 
이는 기업의 재무적 품질이 매우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단, 매출액 대비 매출총이익 비율이 감소한 것은 기업의 수익성이 약간 하락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F스코어 관련 지표 분석 결과, 에코프로에이치엔은 재무적 품질이 우수하며, 성장성과 안정성이 높은 기업임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당기순이익과 영업현금흐름이 양수이며, ROA가 증가한 것은 기업의 수익성과 효율성이 향상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장기부채 대비 자본금 비율과 발행주식수가 변화하지 않은 것은 기업의 자본구조가 안정적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목표주가 결론
에코프로에이치엔은 코스닥 평균보다 훨씬 뛰어난 재무상태와 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ROE와 ROA가 매우 높은 것은 기업의 경영능력과 성장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에코프로에이치엔은 재무적 품질이 매우 높으며, 성장성과 안정성이 높은 기업입니다. 특히, 당기순이익과 영업현금흐름이 양수이며, ROA가 증가한 것은 기업의 수익성과 효율성이 향상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에코프로에이치엔의 주가는 최근 무상증자 소식으로 급등하였는데 이는 무상증자를 통해 기업의 자본금을 약 10배로 늘리고, 자금조달과 재무건전성을 강화할 것이라는 시장의 기대감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에코프로에이치엔의 PER과 PBR은 코스닥 평균보다 매우 높은 것은 시장의 고평가 위험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또한, 매출액 대비 매출총이익 비율이 감소한 것은 기업의 수익성이 약간 하락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에코프로에이치엔의 목표주가는 다음과 같이 산출할 수 있습니다.

* PER 방법: 코스닥 평균 PER인 18.93배를 2023년 1분기 EPS인 635억원에 곱하여 산출한 값입니다. 이 방법은 시장의 평균적인 수익성을 반영하여 주가를 산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으로 산출한 목표주가는 12,031원입니다.
* PBR 방법: 코스닥 평균 PBR인 4.31배를 2023년 1분기 BPS인 5,731억원에 곱하여 산출한 값입니다. 이 방법은 시장의 평균적인 순자산 가치를 반영하여 주가를 산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으로 산출한 목표주가는 24,702원입니다.
* ROE 방법: 2023년 1분기 ROE인 57.60%를 2023년 1분기 BPS인 5,731억원에 곱하여 산출한 값입니다. 이 방법은 기업의 자기자본으로 벌어들인 이익을 반영하여 주가를 산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으로 산출한 목표주가는 33,012원입니다.


이렇게 세 가지 방법으로 산출한 목표주가의 평균을 내면, 에코프로에이치엔의 목표주가는 23,248원이 됩니다. 

현재 주가인 87,300원과 비교하면, 약 **73.37%**의 하락 여력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에코프로에이치엔은 친환경 관련주로, 이차전지 시장의 성장과 함께 주가가 급등하면서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재무제표 분석과 F스코어 관련 지표를 통해 보면, 에코프로에이치엔은 재무상태와 성과, 재무적 품질이 우수하나, 시장의 고평가 위험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에코프로에이치엔의 목표주가는 현재 주가보다 훨씬 낮은 수준으로 산출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이 에코프로에이치엔에 대한 투자 판단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728x90
반응형